농림축산식품부가 2025년 4월 7일에 공공배달 통합포털을 공식 오픈했습니다. 이 포털은 전국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배달앱들을 한데 모아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입니다. 특히 중개수수료 부담이 적고 광고비가 없어 소상공인들에게 매우 유익한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
공공배달 통합포털이란?
공공배달 통합포털은 지역 기반의 공공배달앱들을 한 곳에 모은 허브 역할을 합니다. 현재 전국적으로 약 33개의 공공배달앱이 운영되고 있는데, 기존에는 각 앱을 개별적으로 검색하고 설치해야 했던 불편함이 있었습니다. 이제는 하나의 포털에서 앱 목록을 확인하고 직접 다운로드까지 연결할 수 있어 접근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.
전문가 시각에서 본 공공배달 통합포털의 주요 특징
- 1. 접근성 향상: 통합포털을 통해 모바일과 PC 양쪽에서 쉽게 접속 가능하며, 앱 다운로드 링크까지 제공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됨.
- 2. 수수료 절감: 민간 배달앱 대비 중개수수료가 0~2% 수준으로 낮고, 광고비가 없어 소상공인의 비용 부담을 줄임.
- 3. 지역 경제 활성화: 지역 내 상권 중심의 거래 유도와 지자체 운영으로 지역 경제 선순환 구조 형성.
- 4. 사용자 이벤트 강화: 통합포털 오픈 기념으로 3천원 할인쿠폰 제공 이벤트 및 숏폼 영상 공모전 등 다양한 참여형 홍보 전략 운영.
- 5. 정부 주도 투명성: 민간 자본의 상업성과 달리, 공공성이 강화된 투명한 운영으로 신뢰성 확보.
공공배달앱이 민간 배달앱과 다른 점
민간 배달앱은 일반적으로 중개수수료와 광고비 등 부가비용이 커 소상공인에게 부담이 큽니다. 반면 공공배달앱은 해당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거나 협약을 통해 저비용 구조로 유지되며, 매출 대비 비용 절감 효과가 탁월합니다. 예를 들어, 민간앱에서는 월 수수료 10만~30만 원 이상을 내는 반면, 공공배달앱은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수준에서 운영됩니다.
공공배달앱은 민간배달앱에 비해 중개 수수료가 훨씬 저렴하고(0~2%), 광고 수수료도 없어 소상공인 안정에 도움이 큽니다!!
공공배달 통합포털 이용 방법
- 포털 접속: https://www.atfis.or.kr/delivery
- 지역 선택 또는 전체 보기
- 배달앱 리스트 확인
- 앱 별 다운로드 및 바로가기 링크 클릭
- 앱 실행 후 음식 주문 또는 가맹점 확인
소상공인과 소비자를 위한 혜택
공공배달 통합포털의 가장 큰 장점은 '함께 사는 경제'를 실현하는 데 있습니다. 소비자는 합리적인 가격에 배달음식을 즐길 수 있고, 소상공인은 과도한 수수료 걱정 없이 온라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. 정부는 이러한 구조를 지속 확대해 공공배달 생태계를 안정화할 계획입니다.
아울러 통합포털 출범을 계기로 공공배달앱에서 음식을 주문하고 인증하는 5만 명에 대해 선착순으로 할인쿠폰 3,000원을 지급하는 행사가 진행되고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.!!
결론: 공공배달 통합포털은 시대적 요구
지방 소멸 위기와 소상공인 위기 속에서 공공배달 통합포털은 단순한 플랫폼을 넘어선 ‘필수 인프라’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. 정보 접근성 향상, 비용 절감, 지역 경제 기여라는 세 가지 축을 통해 정부와 국민, 소상공인이 함께 윈윈 하는 구조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. 지금 바로 공공배달 통합포털을 방문해 지역 앱을 확인해 보세요.
공식 포털 주소: https://www.atfis.or.kr/delivery
정부 보도자료 보기: 공공배달 통합포털 오픈 안내 (korea.kr)
'파더의 정보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분만에 환급받는 방법! 국세청 원클릭환급서비스로 홈택스, 손택스 이용방법! (0) | 2025.04.05 |
---|---|
2025 연금개혁으로 달라지는 국민연금, 무엇이 바뀌나? (1) | 2025.03.28 |
우체국 대한민국 엄마보험 : 아가와 엄마를 위한 무료 공익보험 (0) | 2025.03.27 |
2025 청년도약계좌 완벽 가이드, 5,000만원 모으기 프로젝트! (0) | 2025.03.24 |
2025년 문화누리카드 신청방법 및 사용처 총정리 (0) | 2025.03.22 |